강아지 구충제 스케줄 정리
페이지 정보

본문
강아지에게는 내부 기생충(회충, 십이지장충, 촌충 등)과 외부 기생충(진드기, 벼룩 등)을 예방·제거하기 위한 정기적인 구충이 꼭 필요합니다. 특히, 외출하거나 다른 반려견과 접촉이 잦은 경우에는 감염 위험이 높기 때문에 생활환경과 연령에 따라 계획적인 투약이 중요합니다.
1. 생후 2~8주: 초기 구충 시작
- 생후 2주부터 구충이 가능합니다.
- 2주 간격으로 4회 구충 권장
- 주로 회충, 십이지장충 예방 목적
- 이 시기의 구충제는 동물병원에서 액상형 또는 정제형으로 투약
예시
- 생후 2주, 4주, 6주, 8주: 내부 구충
- 이후 백신 접종과 병행해 구충 스케줄 조율 가능
2. 생후 2개월~6개월: 정기 구충 습관화
- 매월 1회 정기 구충
- 내부 기생충 및 외부 기생충 병행 예방
- 이 시기부터는 심장사상충 예방제도 함께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
- 올인원 구충제 (예: 넥스가드 스펙트라, 하트가드 플러스 등) 사용 가능
3. 생후 6개월 이후(성견): 정기 구충 유지
- 월 1회 투약 권장 (내외부 기생충 포함)
- 심장사상충은 모기 활동 시기인 3월~11월에는 반드시 예방
- 외부 기생충은 계절과 외출 빈도에 따라 조절 가능
구충제 종류에 따른 선택 팁
종류 |
대상 |
특징 |
하트가드 플러스 |
내부 구충 + 심장사사충 |
맛있는 츄어블 형태 |
넥스가드 |
외부 구충 (벼룩, 진드기) |
빠른 효과, 외부 활동 많은 경우 적합 |
넥스가드 스펙트라 |
내부 + 외부 + 심장사상충 올인원 |
종합관리 가능 |
브라벡토 |
외부 구충(12주 지속) |
장기지속, 큰 개에게 유리 |
드론탈 |
내부 기생충 전용 |
기초 구충용 |
※ 병원에서 직접 처방받는 경우 강아지 체중에 따라 투약량이 조절되므로, 정기 체중 체크도 함께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.
연간 구충 스케줄 예시 (성견 기준)
월 |
구충 내용 |
1~12월 |
매월 1회 내·외부 기생충 예방제 |
3~11월 |
심장사상충 집중 예방 |
연 1~2회 |
대변검사로 기생충 감염 여부 확인(필수는 아니지만 권장) |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